• 맑음동두천 25.1℃
  • 구름조금강릉 28.3℃
  • 맑음서울 26.8℃
  • 맑음대전 29.3℃
  • 구름조금대구 27.9℃
  • 구름많음울산 22.7℃
  • 맑음광주 27.5℃
  • 흐림부산 21.1℃
  • 맑음고창 26.0℃
  • 맑음제주 25.2℃
  • 구름조금강화 22.1℃
  • 맑음보은 27.8℃
  • 맑음금산 27.7℃
  • 맑음강진군 27.8℃
  • 맑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4.4℃
기상청 제공
  • 네이버TV
  • 유튜브
  • 엑스
  • 인스타그램

MBC '푹 쉬면 다행이야' 지원 사격 나선 김대호, 1호 머구리 자존심 걸고 전복 사냥!

 

‘푹 쉬면 다행이야’ 물때를 놓친 0.5성급 무인도 임직원들이 조식 시간까지 놓칠 위기에 처한다.

 

오는 3일(월)  방송되는 MBC 예능프로그램 ‘푹 쉬면 다행이야’(연출 김명진, 김문기, 이준범, 김기호 / 작가 권정희 / 이하 ‘푹다행’)에서는 ‘안CEO’ 안정환 없이 0.5성급 무인도를 운영하게 된 붐과 그가 선택한 일꾼들 박준형, 박지현, 셰프 정호영의 체크인 둘째 날 풍경이 그려진다. 이날 0.5성급 무인도에는 1호 머구리 김대호가 지원군으로 등장한다고 해 기대를 더한다. 스튜디오에서는 안정환이 이들의 운영기를 지켜보며 직원 평가를 하고, 신지, 장예은, 김대호가 함께한다.

 

이날 붐과 일꾼들은 아침을 맞이해 손님들의 조식 준비에 나선다. 이때 1호 머구리 김대호가 지원군으로 등장해 모두의 환영을 받는다. 셰프 정호영은 조식 메뉴를 ‘전복죽’으로 지정하며 “죽을 쑤고 있을 테니, 전복을 잡아 와라”고 요청한다.

 

이에 갓 섬에 도착한 김대호와 박지현이 머구리 복장으로 환복하고 해루질을 시작한다. 그러나 물때를 놓쳐 이미 물이 많이 들어온 상황. 여기에 더해 시야까지 탁해져서 전복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런 가운데 김대호는 1호 머구리로서 자존심을 걸고 끝까지 전복 사냥을 포기하지 않는다고 해 궁금증을 자극한다.

 

시간은 계속 흘러가고, 붐은 “혼자 오면 안되는구나 느꼈다. 안CEO님이 절실했다”며 절망한다. 그러나 손님들을 위해서는 무엇이든 잡아야 하는 상황. 이에 붐은 ‘플랜비’를 생각해 내 전복이 아닌 다른 해산물로 타겟을 변경했다는 후문이다.

 

전복 없이 죽을 쑤고 있던 정호영은 일꾼들이 가져온 재료들을 보고 즉석에서 신메뉴 개발에 나선다. 이에 식당에서도 먹을 수 있는 ‘전복죽’이 아닌 오직 0.5성급 무인도에서만 먹을 수 있는 특별한 죽이 탄생했다는데. 과연 정호영이 만든 특별한 죽의 정체는 무엇일까. 손님들은 이를 먹고 어떤 반응을 보일까.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푹다행’ 본 방송이 기다려진다.

 

한편 역대급 위기를 맞은 0.5성급 무인도 임직원들의 조식 준비 현장은 오는 6월 3일 월요일 밤 9시 방송되는 MBC ‘푹 쉬면 다행이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예&스타

더보기


영화&공연

더보기
"카사노바" 도발적이면서도 우아한 성인 전용 공연! 6월 21일 윤당아트홀에서 개막
성인 관객을 위한 새로운 차원의 공연 "카사노바"가 오는 6월 21일 압구정동에 위치한 윤당아트홀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 기존의 19금 공연과는 한 차원 다른 ‘카사노바’는 단순한 성인용 콘텐츠를 넘어서 예술적 깊이와 복잡한 인간 감정의 진정성을 보여준다. 이 공연은 한국의 연출가와 미국, 영국, 브라질, 벨기에, 이스라엘, 독일, 러시아 등 8개국에서 모인 다국적 배우들이 협력하여 만든 새로운 형식의 공연으로, 이 국제적 예술 협력은 관객들에게 문화적 으로 풍부하고 시각적 및 감성적으로 깊은 경험을 선사할 것으로 연출가 서상우는 "다양한 국가에서 온 배우들이 협업함으로써, 각기 다른 문화적 배경과 표현 방식을 통해 언어적, 비언어적 요소가 융합된 독특한 공연 스타일이 창조되었다"라고 설명했다. 이는 공연의 신선함과 리얼리즘, 그리고 진정성을 강조하며, 관객이 캐릭터의 감정에 더 깊이 공감하도록 유도하며 성인 관객만을 위해 고안된 "카사노바"는 무대 위의 과감한 나체 장면과 강렬한 스토리텔링으 로 주목받으며, 무대 위 나체 장면은 예술적, 미학적 방식으로 접근하여, 캐릭터의 솔직함과 취약성을 드러냄으로써 스토리의 리얼리즘을 높이고, 관객에게 강한 감정적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