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저출생위기대응 방송주간을 맞아 기획된 시사기획창 <우리의 험난한 평균결혼식>이 7월 9일 화요일 밤 10시 방송된다.
이번 프로그램은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비혼 인구 증가만이 문제가 아님을 밝히며 결혼을 준비하는 젊은 층에게 첫 관문이자 걸림돌이 되는 결혼식 시장의 문제를 심층적으로 파헤친다.
한국에서 인구 천 명당 혼인 건수는 꾸준히 줄어들고 있어 지난해에는 약 19만 건으로 이는 10년 전과 비교해 40%나 급감한 수치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현재 30대 남성의 48.7%, 여성의 31.9%, 그리고 20대 남성의 41.9%, 여성의 27.5%만이 결혼에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는 모든 연령대에서 '결혼자금'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한 결혼 정보업체가 기혼 남녀 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결혼 비용은 집값을 제외하고도 약 6천만 원에 달했다.
웨딩업계는 소비자가 가격을 정확히 알 수 없는 구조로 운영되며 예식장 중 홈페이지에 상품별 세부 가격을 표시한 곳은 전체의 단 8%에 불과했다.
김다영 예비 신부는 "여기는 우리 플래너 업체가 하는 곳이라 이 가격에 해주는 것이라 말하고 여기는 직영이라 이 가격이라고 했는데요. 비교해 보니까 똑같은 옵션이었거든요."라며 정보 비대칭 문제를 지적했다.
예식장을 예약하는 것도 쉽지 않다.
토요일 성수기 기준으로는 보증 인원 제시와 착석 가능 인원 간 차이가 크고 입장곡 변경 시 추가 금액이 발생한다.
드레스 피팅비를 내면서도 사진 촬영 불가 및 직접 선택 불가능 등 과도한 요구 사항도 존재한다.
강승주 예비 신부는 "항상 자세가 낮춰져 있는 느낌"이라고 말하며, 정찰제가 아닌 가격 구조 때문에 소비자가 불리함을 느끼고 있음을 밝혔다.
지난 5년간 한국 소비자원에 접수된 웨딩 업체 피해 구제 신청은 총 1,394건이며 올해 들어서도 이미 155건이다.
정부는 실태조사와 함께 가격표시제를 예고했지만 기본 요금을 저렴하게 책정하고 고가 옵션으로 유인하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인하대 소비자학과 이은희 명예교수는 "결혼식을 잘하고 싶은 강박 관념은 크지만, 일생 한 번 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장 상황을 잘 알지 못합니다."라고 설명하며 웨딩 시장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부당한 요구사항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현실을 지적했다.
이번 프로그램에서는 돈 없으면 결혼식을 올릴 수 없는 현실 속에서 을(乙)로 전락할 수밖에 없는 한국 웨딩 시장의 실태를 조명할 예정이다.